분류 전체보기43 JPA 정리(1) -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컨텍스트 DB의 데이터들을 관리해주는 객체로 관리 해주는 주체 단순하게 영속성 컨텍스트 == 1차캐시라고 생각 persist(entity)를 사용하여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 JPA를 통해 조회한 Entity들은 자동으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된다. => 이미 DB에 있는 것들을 조회 한 것이기 때문에 commit을 해도 DB에 새로 등록되지 않는다.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Entity의 setter를 통해 값을 변경한 뒤 commit을 하면 DB에 동일한 ID(pk)를 가진 로우와 비교하여 달라진 부분에 대해 update를 실행,그렇기에 Entity의 setter메소드를 자제해야 한다. -> Dirty Checking !중요 : persist() 함수가 DB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영속성 컨.. 2023. 7. 17. Spring @JsonIgnore 주의점 사이드 프로젝트로 React + SpringBoot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DTO를 req용과 res용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로 사용하고 있었다. 하지만 그로인해 @JsonIgnore를 사용했을 때 문제가 생겼다. 왜냐하면 이 어노테이션은 *직렬화와/역직렬화 모두 무시 * 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요청 데이터 매핑용 DTO와 응답 데이터 매핑용 DTO를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자! 2023. 5. 19. MPA 와 SPA 간단 정리 및 견해 첫 글로 간단하게 MPA(Multi Page Application) 과 SPA(Single Page Application)에 대해 정리 하려고 합니다. (제가 알고 있고 느끼는 선에서 작성하므로 글의 깊이가 얕을 수 있습니다.) MPA ※ 정의 및 특징 여러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JSP가 MPA에 속합니다. jsp를 사용해 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매 요청마다 리소스를 새로 다운로드 받고 페이지를 새로 렌더링 하기 때문에 깜빡거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※ 장점 각각의 페이지가 URL을 가지고 있어 검색 엔진 최적화가 용이하다. 페이지를 서버에서 로드하므로, 초기 로딩 시간이 빠르다. ※ 단점 각 페이지를 서버에서 로드하므로 전환 속도가 느리다.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.. 2023. 4. 29. 이전 1 ··· 8 9 10 11 다음